3.매인/-민화-

화조도[민화란?]

★ 큐-피트 ★ 2012. 8. 4. 15:36

./ .

    민화란?



    꾸밈없이 살아온 서민의 삶 속에서 태어난 민화(民畵)는?

    우리 겨레의 신화와 종교,우리의 정신이 깃들여 있는 문화 유산다.

     

    옛 사람들의 주거공간을 꾸미고,

    지나온삶의표현 이기도 하다.

    민화는 대중의 일상생활에 연관된 실용적인 그림이다.

     

      민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1. 떠돌이 서민(庶民)화가가

       서민들을 위해서 그린 각종 그림들이고

    2. 전통성(傳統性)과 인습성이(因習性) 제작된 작품들이다.

     

    그려진 그림들은 작가가 알려져 있지 않고

     연대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은 것이 공통적 특징이다.

      

      ☆.민화가 지니고 있는 특징을 간단히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민화야말로 우리 선조들이 지니고 있던 천진성이나 해학성을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표현방법이 단순하면서도 강렬한 측면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성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고있다.  

     ☆.채색이 강하고 장식성이 두드러진 것을 부인할 수가 없다 .

     ☆.조선시대의 회화는 유교사상이나 유교미학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수묵담채가 기본을 이루고 있었던 것에 비해

     ☆.서민 대중 사이에서 유행한그림외궁중의 인습적 그림에서

        이처럼 강한 채색을 지니고 있어서 큰 대조를 보여준다.

     

    민화 화가들은 많은 경우 전혀 색다르고 , 남과 다른 그림을 그리고자 하지 않았다.

    그저 많은 사람들이 일반 대중의 기호와 요구에 따라

    수천의 화공들이 찾아낸 내용과 양식에 따라 그림을 그렸을 뿐이다.


     

    (1)  민화는 장식적 필요에 의해 그린 그림이다 .

    토속신앙과 세계관이 반영된 그림이다 .

    민화는 실용성, 상징성, 예술성을 모두 지니고있다.

     

    (2) 민화에는 주술적 신앙이 반영되어 있다 .

    민화 중에는 토착적인 종교와 결합된 풍습에 의해 주술적인 의미가 부여된 것들이 있다. 이를 세화라 하며 매우 널리 그려졌다. 그 대표적 예가 호랑이 그림이다.

     

    (3) 민화는 집단적 감수성의 표현이다 .

    민화는 곧 일반 서민들의 마음이라 할 수 있으며.

    공감과 공동소유에서 쾌감을 바탕으로 그리고 감상하고 즐겼던 그림이다.

    민화가 서민들의 생활과 함께 숨쉬면서 형성 되었기에 실용성과 대중성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민화의 종류

     

    민화의 유형은 용도와 기법 , 재질, 주제 등에 의해 분류할 수 있다.

     

    (1)화조도

    꽃과 새가 한데 어우러져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는 화조도는 민화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그림이다.

     우리 민족이 꽃과 새 그림을 가장 사랑했음을 반영하고있다.

    자연 속에서 숨쉬는 온갖 꽃과 새들이 등장한다.

     

     화조화에서 보여지는 새와 꽃의 관계는

     특정한 짝을 가지게 되는데

     두견새는 배꽃과,꾀꼬리는 버드나무와 학은 소나무와,갈매기와 기러기는 갈대와, 봉황은 연꽃과 짝지우기를 좋아 하였다.

     

     주로 부인방이나 신혼방 혼례용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꽃처럼 아름답게.나무처럼 싱싱하게. 바위처럼 의젓하게,

     그리고 그 속에서 쌍쌍이 정답게 살아가는 짐승처럼 부부가 영원히 사랑하기를 바라면서 그려 붙인 것이 화조 그림이다.  

     

    (2) 초충도  

    화조도가 꽃과 초목 ,새를 주요 소재로

    초충도는 화초에 벌과 나비 같은 곤충을 주로 그린 그림이다.2. 


    전통성(傳統性)과 인습성이(因習性) 제작된 작품들이다.

    특별히 과장을 하겨나 화려하게 그리지 않고

    섬세하고 정묘한 세필로 그려져

    조용하고 그윽한 정감을 주는 초충도는 주로 부인방에 장식되었다.

     

    초충도를 소재별로 분류해서나비그린 그림을 군접도 호접도라고 불리우는데 자연의 아름다움을 생활 주변 가까이에 두고자 하는 심성이있다.

    꽃은 여자,나비는 남자에 비유하여 남녀간의 사랑놀음으로 표현하여 행복한 부부간의 화합과 기쁨을 염원하였다.

     

    (3) 모란도

    민화에는 이름 모를 수많은 꽃들이 등장한다 .

     예로부터 부귀를 상징했다.

     모란은 종자를 생산하지만 굵은 뿌리 위에서 새싹이 돋아나므로 수컷의 형상이라 하여 모牡,꽃색이 붉어 란丹이라 하였다.

    (4) 연화도

    연꽃은 모란만큼이나 민화에 많이 등장하는 꽃이다. . 모란을 꽃 중의 왕이라고 한다면 연꽃은 군자의 꽃이다.

    진흙 속에 뿌리를 박고 자라면서도 .

    잎새에는 더러운 물 한 방울 묻히지 않을 만큼 깨끗한 연꽃을.

    세파에 물들지 않는 고결한 모습을 군자에 비유한 것이다.

    연꽃 그림이 불교 사상에만 결부되어 있는 일본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종교와 상관 없이 즐겨 그려졌다 .

    백로와 연꽃을 함께 그려 한번에 과거에 급제 하라는 뜻과 연밥이 촘촘히 박힌 연실을 그려 多男을 상징하기도 하였다.

     

    사실을 있는 그대로 잘 묘사하기 보다는 인간의 염원과 바람을 상징적으로 그려내는 데 주력한 민화는 자연의 이치가 아니라 자연을 초월하고 상상을 뛰어 넘는 시각으로 이해해야 한다 .

     

     

    (5) 책거리

    문명의 발달은 교육에서 시작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

    중국의 철학자 맹자의 어머니는 자식에게 좋은 교육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 힘든 이사를 세번이나 하였고

    조선의 서예가 한석봉의 어머니는 자녀가 어려운 학습과정을 완성 할 수 있도록 커다란 자극을 주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6) 문자도

    문자도는 삼강오륜 (三綱五倫)의 교훈적이고

    길상적인 뜻을 지닌 문자를 통해 소망하는 것을 이루고자 하는 의도에서 제작된 그림이다.

    18세기 경부터 사대부가의 생활 속에 자리잡기 시작했고,

    19세기에 봉건사회가 이완됨에 따라 일반 서민들에게 파급된 것으로 보인다.

    문자도를 대표하는 효제도(孝悌圖)는

    유교의 도덕강령으로 선비의 덕목인 효孝.제悌,충忠,신信,예禮,의義,염廉,치恥 여덟 글자에 회화적 요소를 가미시킨 그림이다.

     

    (7) 어해도

    물고기와 조개류 및 게 등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

    물고기의 종류에 구별 없이 각종 어족들이 노니는 모습은 마치 한가로운 수중 낙원과 같이 보이며

    답답한 삶의 현실에서 벗어난 해탈의 경지를 느끼게 한다.

    물고기는 알을 많이 낳는 생물 가운데 하나이므로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고 ,

    물고기는 잠을 잘 때도 눈을 뜨고 있기 때문에 도둑을 경계한다고 믿어

    다락문이나 벽장문 같은 곳에 어해도를 붙여 놓거나 뒤주에 붕어형의 자물쇠를 달아 놓기도 하였다.

     

    또 물고기는 금슬 좋은 부부를 상징하기도 한다.

    이것은 동방의 바다에 산다는 전설적인 물고기인 비목어(比目漁)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 고기는 눈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암컷과 수컷이 나란히 하여야 비로소 헤엄친다고 한다.

     

    민화의 어해도에는 큰 잉어 한 마리가 하늘을 향해 뛰어 오르는 그림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는 중국 황하 상류 협곡에 등용登龍이라는 큰 폭포가 있었는데,

    이른 봄철에 강물이 불어나서 역류하는 물결이 일 때면 

    잉어들이 용문에 모여 거센 물결을 거슬러 오르기 위해 뛰어오르는데,

    수많은 잉어 가운데 한 마리가 폭포를 뛰어 오르면 우뢰와 번개가 쳐서 잉어의 꼬리를 불태워 용이 된다고 한다.

     이는 과거에 급제하여 입신출세 한다는 뜻을 담고 있어 과거 시험에 합격하라는 뜻이다.

     

     

    (8) 호랑이

    한국인들은 낙천적인 민족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그러한 민족성이 없었더라면 많은 국난 속에서 꿋꿋이 견뎌내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민족성을 잘 보여주는 그림이 민화다.

    민화는 어느 계층에 한정되지 않은 대중적인 미술이므로 민족의 미의식과 정서가 잘 표현되어 있다.

     

    .


    [민화]화조도



    신혼방 혼례용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꽃처럼 아름답게.나무처럼 싱싱하게. 바위처럼 의젓하게,

     쌍쌍이 정답게 살아가는 짐승처럼

     부부가 영원히 사랑하기를 바라면서 그려 붙인 것이 화조 그림이다.  

     

     



     

    민화 [어화도]

     

     

     

      [어회도]


    입신 출세를 [과거시험에 합격을 의미한다]

     물고기와 조개류 및 게 등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

     물고기의노니는 모습은 마치 한가로운 수중 낙원과 같이 보이며

     답답한 삶의 현실에서 벗어난 해탈의 경지를 느끼게 한다.

     알을 많이낳는 생물 이므로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고.

     물고기는 잠을 잘 때도 눈을 뜨고 있기 때문에 도둑을 경계한다고 믿어

    다락문이나 벽장문 같은 곳에 어해도를 붙여 놓거나

    뒤주에 붕어형의 자물쇠를 달아 놓기도 하였다.

     

     

     민화의 어해도에는 큰 잉어 한 마리가 하늘을 향해 뛰어 오르는 그림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는 중국 황하 상류 협곡에 등용登龍이라는 큰 폭포가 있었는데,

     이른 봄철에 강물이 불어나서 역류하는 물결이 일 때면 늙은 잉어들이

     용문에 모여 거센 물결을 거슬러 오르기 위해 뛰어오르는데,

     수많은 잉어 가운데 한 마리가 폭포를 뛰어 오르면

     우뢰와 번개가 쳐서 잉어의 꼬리를 불태워 용이 된다고 한다.

    ................................................................................

    민화의 종류와 특징

    조선 후기에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서민 문화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속화(俗畵)라고도 부르며, 여염집의 병풍, 족자 또는 벽에 붙여졌다.

    민화의 종류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며, 그 분류도 대략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있다

    ①화조도(花鳥圖):매화, 동백, 진달래, 개나리 등에 봉황, 원앙,학, 제비, 참새 등을 함께 그린 그림

    ②어해도(魚蟹圖물속에 사는 붕어,메기,잉어, 거북, 게 등을 그린 그림

    ③영모도(靈貌圖):사슴, 토끼, 말, 소, 호랑이 등을 그린 그림

    ④십장생도(十長生圖):장수의 상징인 거북, 소나무, 해, 달, 사슴, 학, 돌, 물, 구름, 불로초 등을 함께 그린 그림

    ⑤풍속도(風俗圖):생활 모습이나 세시 풍속을 그린 그림

    ⑥문자도(文字圖):교훈적인 글자의 모양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

    ⑦무속도(巫俗圖):산신, 용신, 보살 등을 무속화 하여 그린 그림

    ⑧고사도(古事圖):고사와 민화(民話), 소설 등의 내용을 간추려 표현한 그림(교화용으로 쓰임.)

    ⑨책가도(冊架圖):서적이나 문방사우 등을 그린 그림

     이밖에도 민화로 가장 많이 알려진 까치와 호랑이 그림 즉,‘

     작호도(雀虎圖)’를 별도로 구분하기도 한다.

     




'3.매인 > -민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화(초충도)艸蟲  (0) 2018.04.12
닭,[민화]  (0) 2017.03.01
민화 [어화도]연못속의 잉어  (0) 2011.02.01
민화[화조도]  (0) 2011.01.01
[민화] 잉어  (0) 2010.12.02